티스토리 뷰
아이들에게 가장 위험한 곳은 어디일까?
짐작하시는 분들이 많을텐데.... 역시 집이다.
아이들에게 '정글' 만큼이나 위험한 공간은 '홈 스위트 홈'의 그 홈(Home) 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의 최근 3년간(’13년~’15년) 조사에 의하면,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주택’으로 전체의 69.1%(53,072건)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여가, 문화 및 놀이시설’ 7.3%(5,616건), ‘교육시설’ 7.0%(5,338건), ‘도로 및 인도’ 3.4%(2,635건) 등이 뒤를 이었다.
더불어 어린이 안전사고 총 76,845건을 분석한 결과, 1세~3세(걸음마기) 때 가장 많이 다치는 것으로 나타나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가 필요하다.
연령대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1세~3세(걸음마기)’가 38,524건(50.1%)으로 어린이 안전사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이어 ‘4세~6세(유아기)’ 16,580건(21.6%), ‘7세~14세(취학기)’ 15,063건(19.6%), ‘1세 미만(영아기)’ 6,678건(8.7%)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가정내에서 어린이 안전사고의 약 70%가 발생한다는 것은 만큼 가정내 안전사고에 대해서 무방이 상태라는 반증이다. 대부분의 시간을 가정 내에서 보내는 것을 감안한다고 해도 너무나 높은 수치임은 틀림없다.
그럼, 아이들은 어떤 안전사고에 노출된 것일까?
위해품목별로는 ‘바닥재’ 9,178건(11.9%), ‘침실가구’ 8,032건(10.5%), ‘거실가구’ 5,169건(6.7%) 등으로 가구에 의한 어린이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바닥재’로 인한 사고 비율은 걸음마를 시작하는 1세~3세(걸음마기)가 15.9%로 가장 높았고, 이후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침실가구’로 인한 사고 비율은 1세 미만(영아기)이 35.8%에 달하였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린이에게 사망 및 장애 등 심각한 위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삼킴, 화상, 중독사고 등을 분석한 결과, ‘이물질 삼킴/흡인사고’는 총 6,016건이 접수되었다. 이 중 완구의 부속품을 삼킨 사례가 849건(14.1%)으로 가장 많았고, ‘구슬’ 655건(10.9%), ‘동전’ 321건(5.4%), ‘스티커’ 201건(3.3%), 그리고 장내 손상 및 심각한 위해를 일으킬 수 있는 ‘전지’도 195건(3.2%) 등이 있었다.
‘화상사고’는 총 2,426건으로 ‘전기밥솥’, ‘정수기’ 등 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물품에 의해 화상을 입는 사고가 많았다.
‘중독사고’는 총 705건으로 ‘의약품’ 225건(31.9%), ‘청소 및 세탁용품’ 90건(12.8%)으로 나타나 특히 3세 이하의 영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의약품, 화학물질 등의 보관 및 관리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블라인드 끈에 의한 질식사고’는 총 4건이었으며, 이 중 1건은 사망사고로 블라인드에 의한 질식사고 발생 즉시 응급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보호자는 성인들에게는 하등의 위험요소가 아니지만 아이들에겐, 특히나 나이가 어린 아이일수록 집 안 곳곳이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늘 인지해야한다. 결국 가정이나 놀이시설 등 어린이들이 주로 활동하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어린이 안전사고는 오로지 보호자의 세심한 주의만이 예방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령대별 가정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수칙을 꼭! 명심하고 실천해보자.
1. 영아기(1세 미만)
• 침대 추락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영아를 침대나 소파에 절대 혼자두지 않는다.
• 영아는 손에 닿는 모든 것을 입으로 가져가기 때문에 주변에 작은 물건을 두지 않는다. 특히, 단추형 전지나 강력 자석은 단시간 내 장내 손상을 일으키고, 심할 경우 사망할 수도 있으므로 전지 및 자석 제품 취급에 주의한다.
• 유모차로 이동 시에는 반드시 안전벨트를 채워 아이가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 압력밥솥, 냄비, 다리미와 같은 고온물질을 아이들의 손이 닿는 곳에 놓지 않도록 주의한다.
2. 걸음마기(1세~3세)
• 영아가 걷기 시작하면서 실내가구에 부딪혀 다치는 사고가 많이 발생하므로 가구나 문 모서리에 보호대 및 완충장치를 설치한다.
• 방, 거실 등에서의 미끄러짐·넘어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 바닥재를 설치하거나 바닥에 미끄럼방지용 매트를 설치한다.
• 현관문, 방문 등에는 손 끼임 방지 보호대나 경첩 끼임 방지 장치 등을 설치한다.
• 엘리베이터나 자동문 이용 시에는 부딪힘 또는 끼임사고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보호자와 함께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이용한다.
• 가정용 의약품, 화학물질 등은 아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3. 유아기(4세~6세)
• 이 시기의 유아들은 호기심이 많고 통제가 잘 되지 않아 침대, 소파, 테이블 등에 부딪히거나 추락하는 사고가 다발하므로 아이들이 가구에 올라가서 놀지 못하도록 한다.
• 베란다에 가구나 발판 등 아이들이 딛고 올라갈 수 있는 물건을 놓지 않는다.
• 어린이가 계단 주변에서 놀지 않도록 주의하고, 추락·낙상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계단 주변에서 유모차, 보행기, 자전거 등 바퀴가 달려있는 제품을 절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호기심이 왕성한 시기이므로 작은 부품이 있는 완구나 장난감을 갖고 놀지 않도록 주의하고, 완구나 장난감 구매 시 안전기준 적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한다.
4. 취학기(7세~14세)
• 트램펄린, 키즈카페 등 실내 놀이시설 이용 시 반드시 안전수칙을 준수하고, 어린이 놀이시설의 보험 가입 여부 및 상태 등을 꼼꼼히 살핀 후 이용한다.
• 자전거, 인라인 스케이트 등 스포츠장비 이용 시 안전모, 무릎보호대, 팔꿈치 보호대 등 보호 장구를 반드시 착용한다.
• 이물질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민간요법이나 직접 이물을 제거하는 행동은 오히려 심각한 위해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에서 치료를 받도록 한다.
• 애완동물 물림사고의 위험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함부로 애완동물을 만지지 않도록 한다.
• 학교 및 학원 등 교육시설은 어린이 안전수칙에 대한 지속적·정기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어린이들이 안전수칙을 숙지하도록 한다.
아이들의 가정내 안전사고는 무조건 보호자의 책임이다. 결국은 사전 안전예방 조치와 보호자의 지속적이고 세심한 주의만이 대비책임을 잊지 마시길...^^*
'정부소식통 > 소비자원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용 카시트 구매시 판매중지 상품 꼭!! 확인하자. (0) | 2016.08.08 |
---|---|
매력적인 해상펜션, 더 안전하게 이용하기 (0) | 2016.07.29 |
여름 휴가철 사고, 고장차량 견인시 대처방법 BEST5 (0) | 2016.07.26 |
돼지고기 가격, 고공행진중 (0) | 2016.07.18 |
해외직구 캐주얼 의류, 가격변동 빈번하고 변동폭 크다. 주의 요망! (0) | 2016.06.29 |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릴러
- 브렉시트
- 올림픽 여자골프
- 리디아 고
- 오사카 초저가 호텔
- 금융감독원
- 아마존
- 금감원
- 오사카 호텔 할인
- 박인비
- 직구
- 김세영
- 이미림
- 무료 금융자문 서비스
- 배송대행
- 금융정보서비스
- 오사카 최저가 호텔
- 오사카 추천 호텔
- 도쿄 가성비 좋은 호텔
- 양희영
- 알파고
- 주타누간
- 오사카 저가 호텔 추천
- 해외직구
- 도쿄 추천 호텔
- 오사카 최저가 호텔 추천
- 오사카 호텔 예약
- 오사카 저렴한 호텔
- 오사카 호텔
- 전인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