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에어컨과 또 공기청정기 필터에 유해물질이 들어있다는 소식에 떠들썩한게 엊그제 같은데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까지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온다.
일상생활에서 마주하는 것들 중에 대체 위험하지 않은 게 뭔지, 안그래도 지치는 이 여름을 더 지치게 만든다.
각설하고...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시작되면서 간편하게 사용 가능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 시 흡입 우려가 있어 사용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서 판매중인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 20종에 대한 살균보존제 MIT(메틸이소티아졸리논), CMIT(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 함량 및 표시실태를 분석했다.
▶ 살균·보존제 MIT/CMIT 불검출
가습기 살균제에 사용되어 안전성 논란이 있는 MIT, CMIT 성분의 시험결과, 조사대상 전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 MIT(메틸이소티아졸리논), CMIT(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는 가습기 살균제로 사용되어 안전성 논란이 있던 성분으로 2011년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한 동물실험 결과, 흡입독성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관련 피해 사례가 있으므로 사용 자제가 필요함. 환경부는 스프레이형 제품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스프레이형 제품에 MIT의 사용을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 얼굴 직접 분사 금지 주의문구는 25%만 표시
반면,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를 호흡기로 흡입 시 인체에 위해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 시 주의사항 등 표시실태를 조사했다.
그 결과 「화장품법 시행규칙」 개정에 따른 “얼굴에 직접 분사하지 말고 손에 덜어 얼굴에 바를 것”이라는 표시(‘16.7.30. 전면 의무화)는 조사대상 20개 중 5개 제품(25%)에서만 확인됐다.
▶ 안전하고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제 사용방법 준수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관련 업체에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 사용시 얼굴 직접 분사 금지 관련 소비자홍보를 요청하여 자발적으로 주의문구를 제품 상단에 스티커로 부착하거나 판매대에 게시하는 등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기로 하였다.
또한 소비자 안전 확보를 위해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를 ▲어린이에게 사용하지 말 것 ▲얼굴에 직접 분사하지 말고 손에 덜어 얼굴에 바를 것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지 말 것 등 「안전하고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제 사용방법」을 소비자정보로 제공하고 이를 준수해 줄 것을 당부했다.
가습기 살균제에 사용되서 논란이 있었던 성분이 검출이 않되서 다행이긴 하지만, 이젠 뭐 하나 안심하고 사용할게 없는것 같다.
외국 담배갑의 해골그림을 모든 제품에 붙여야 하는건 아닐까?
'일상이야기 >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감원의 무료금융자문서비스 알고 있나요? (0) | 2016.08.04 |
---|---|
해외직구 피해를 줄이는 방법 베스트3 !! (0) | 2016.08.02 |
우체국 선납소포상자로 배송비 아껴보자! (0) | 2016.07.26 |
명품 O2O서비스 카카오드라이버 !! (0) | 2016.07.20 |
KB국민카드, 해외이용 빅3 이벤트 (0) | 2016.07.19 |
- Total
- Today
- Yesterday
- 브렉시트
- 오사카 저가 호텔 추천
- 김세영
- 무료 금융자문 서비스
- 스릴러
- 금융정보서비스
- 도쿄 가성비 좋은 호텔
- 오사카 최저가 호텔
- 오사카 호텔
- 오사카 초저가 호텔
- 오사카 추천 호텔
- 오사카 최저가 호텔 추천
- 이미림
- 오사카 호텔 예약
- 금융감독원
- 알파고
- 주타누간
- 박인비
- 배송대행
- 리디아 고
- 전인지
- 해외직구
- 올림픽 여자골프
- 도쿄 추천 호텔
- 아마존
- 직구
- 오사카 호텔 할인
- 양희영
- 오사카 저렴한 호텔
- 금감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