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협상의 전략

김연철 지음 / 휴머니스트 / 2016년 7월 4일 출간

 

요즘 사드 배치 문제로 온 나라가 시끄럽다.

사드 배치를 둘러싼 논쟁에서 빼놓을 수 없는게 '협상'이라는 단어다.

냉전시대가 오래전에 끝난 지금에, 어떤 내부적인 협상없이 미국, 중국과 제대로된 협상을 할 수 있을까?

2015년 12월 한일 양국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을 선언했다.

왜 일본과의 최악의 한일협상을 또 재현하고 있는지..

과연 협상의 최선책은 무엇일까? 협상에의 비법이란게 있는걸까?

 

사실 협상은 20세기 때만 하여도 겁쟁이의 선택이라며 조롱당하기 일쑤였다. 하지만 지금은 사정이 다르다.

협상은 지역분쟁 같은 작은 단위의 협상에서부터 국가 간 혹은 다국가 간의 거대한 협상까지. 문제 해결을 위한 차선책이

아니라 최선의 방법이 되었다.

그렇다면 왜, 무엇을 위해 협상을 하는가? 협상에서 성공하는 기술은 무엇인가?

<협상의 전략>은 협상이 필요한 상황에서 어떻게 임해야 하는지, 협상에 대한 큰 그림을 보여주는 책이다.

지난 20세기 역사를 이끌며 세계를 바꾼 20가지의 협상 명장면을 펼쳐내는 이 책은 벼랑 끝에서 핵전쟁을 막은 쿠바 미사일 위기,

용서로 흑백의 화해를 이끌어낸 남아프리카공화국 민주화 협상, 서두르다 망한 예멘의 통일협상과 너무 쉽게 타협해

역사가 복수한 한일협정, 한국전쟁 휴전협정 등 한반도는 물론 전 세계 곳곳에서 벌어진 다양한 협상의 역사를 들려주며

그 협상을 이끈 리더들의 선택을 통해 참된 리더의 역할이 무엇인지 돌아본다.

 

협상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기에, 어떤 협상이든 그 주체는 사람이 된다.

상대와 ‘관계’를 이루어야 하며, 협상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익의 기계적인 배분 보다는 신뢰를 먼저 쌓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이 책은 화해와 평화, 공존, 협력을 위한 다양한 협상이 어떻게 세계를 움직여 왔는지를 독자들에게 설명한다.

 

 

 

 

About 김연철 :

저자 김연철은 강원도 동해시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했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북한의 산업화와 공장관리의 정치〉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 삼성경제연구소 북한연구팀에 들어가 북한의 산업시설과 공장을 직접 둘러보며 대북 사업을 기획했다.

2004년부터 1년 반 동안 참여정부의 통일부 장관 정책보좌관으로서 장관급 회담을 비롯해 다양한 회담에 참여하며

외교 전선의 선두에서 실전 협상을 경험했다.

개성공단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 미국 상무부와 협상을 벌였고, 북한의 허허벌판에 공장이 하나둘 늘어나는

것을 지켜보았다.

북한을 6자회담에 참여시키기 위해 협상안을 만들어서 설득하고, 미국 조지 W. 부시 행정부와 함께 남한, 북한,

미국 삼각협상을 진행하기도 했다.

러시아 극동대표부의 초청으로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해 남한, 북한, 러시아 삼각협력을 협의했으며,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중협의에도 참여했다.
2008년부터 2년간 한겨레평화연구소 소장을 맡아 남북 문제와 통일 논의를 진전시키기 위해 애썼다.

현재 인제대학교 통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북한의 산업화와 경제정책>, <냉전의 추억> 등이 있고, 통일문제에 관한 논문을 여러 편 발표했다.
남북이 협상 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날카롭게 대립하는 현장에서 ‘협상’의 진정한 의미와 방법을 고민하며 협상에 관한

책을 써야겠다고 결심했다.

‘우리 안의 분단’을 넘어 한반도에 평화가 정착되기를 소망하며, 세계 여러 나라의 분쟁 해결과 평화 정착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협상의 역사에서 오늘날 문제 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찾아보는게 이 책의 전부다!

 

지금의 우리 현실을 돌아보면 모든 문제의 중심에 협상의 실패가 도사리고 있다. 개인도 정부도 마찬가지다.

몇명이 조용한 곳에 모여서 일사천리 결정하는 시스템은 협상에서 백전필패다.

내부적으로 민주적인 협상이 있고 나서야, 진정한 협상테이블에 앉을수 있다.

 

역사를 뒤흔든 20가지 협상에서 세계를 바꾼 리더들의 협상 전략과 지금 우리의 현실을 비교해보자.

우리는 어떤가?

 

 

반응형